융의 성격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30 09:34
본문
Download : 융의 성격구조.hwp
그것은 정신의 가장 유력하고 影響력이 있는 체계이며, 병적인 사례(instance)에서는 자아와 개인적 무의식을 약화시킨다. 여기에는 상실된 기억이나 억압된 불쾌한 여러 표상 등 의식 위에 올려지지 않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III.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집단적 또는 전승된 무의식의 개념(槪念)은 융의 성격 theory 가운데 가장 독창적이고 논쟁을 불러일으킨 특징 중 하나이다.
II.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개인적 무의식은 본질적으로 의식에 남아 있지는 않지만 쉽게 의식부로 떠오를 수 있는 저장고로써 개인무의식은 프로이드의 전의식과 유사하다.
I. 자아(ego)
자아란 의식적인 마음을 의미하는데 의식적인 지각, 기억, 사고와 감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에 대한 의식뿐만 아니라 외재에 대한 지각을 통합하게 된다 이 자아는 자신이 의식하는 세계에 대한 태도가 합리적이냐 혹은 비합리적이냐를 결정하는데 합리적인 기능은 사고와 감정이, 비합리적 기능은 감각과 직관이 담당한다고 했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 선천적으로 일말의 집단적 무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 집단적 무의식의 구성 요소로는 원형(原型, archetyp…(생략(省略))
융의 성격구조





Download : 융의 성격구조.hwp( 68 )
다.
레포트/기타
융,성격구조,기타,레포트
순서
융의 성격구조
융의 성격구조 , 융의 성격구조기타레포트 , 융 성격구조
설명
융의 성격구조
목차
융의 성격구조
I. 자아
II. 개인무의식
III. 집단무의식
IV. 페르소나
V. 아니마와 아니무스
VI. 그림자
VII. 자기
reference
융의 성격구조
융의 견해에 따르면 성격은 세 가지의 분리된 그러나 상호작용하는 체계인 자아, 개인적 무의식, 집단적 무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역싸적 무의식은 인간의 진화발달의 정신적 잔재이며, 이 잔재는 많은 세대를 거쳐 반복된 경험들의 결과가 축적된 것이다.
집단적 무의식은 인간의 조상대대의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잠재적 기억 흔적의 저장소인데, 그 과거란 개별 종족으로서의 인간의 종족적 역싸뿐만 아니라 또한 인간 이전의 동물 조상으로서의 종족적인 역싸도 포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