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2>소쉬르 언어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說明)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4 20:35
본문
Download : 소쉬르 1.hwp
이때, 소리들을 ‘기표’, 그리고 그 소리가 가리키고 있는 실제의 대상을 ‘기의’라고 한다.
3. 랑그와 파롤
언어의이해,소쉬르,언어학,소쉬르언어학
Download : 소쉬르 1.hwp( 91 )
- 다양한 data(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2>소쉬르 언어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說明)하시오
소쉬르 언어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說明)하시오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이해 A형 소쉬르 언어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5. 공시성과 통시성
4. 계열체와 통합체
국어국문학과 1학년 언어의이해 A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다. 우리가 흔히 쓰는 ‘기호’라는 말은 소쉬르의 용어를 빌자면, 기표에 가깝다.
2. 기호의 ‘자의성’
1.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
1.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
6. 구조주의의 history
순서
소쉬르에 따르면, 기호(sign)는 청각적 이미지인 기표(signifier)와 그것의 槪念인 기의(signified)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옷]이라는 기호는 [ㅇ,ㅗ,ㅅ]과 같은 소리들이 실제의 대상인 ‘옷’을 가리킨다. 마치 종이의 앞/뒷면과 같이 槪念적으로 구분은 할 수 있으나 두 개를 따로 분리할 수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소쉬르는 기호를 의미화 하는 것[ signifier]과 의미화 되는 것[signified]으로 나누고 이들 각각에 기표와 기의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정이된다 소쉬르에 의하면 기표와 기의는 항상 기호 안에 함께 들어 있으며 결코 독립해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槪念적으로만 분리가 가능할 뿐이다. 기표는 어떠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들이 고안한 표식들 그 자체를 뜻하고, 기의는 그러한 기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