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3 16:59
본문
Download : 예술과 사회.hwp
전통 자체는 물론 무엇인가 살아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 무엇인가 change(변화)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의 상관관계 속에 깊이 들어가 그 일부가 된 예술작품 본래의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은 종교의식 속에서이다. 주지하다시피 가장 오래된 예술작품은 처음에는 마술적 의식, 다음으로는 종교의식에 봉사하기 위해 생겨났다. 이렇게 해서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은 사물의 권위이다.
다. 복제에서 빠져 있는 예술작품의 유일무이한 현존성을 우리는 분위기(Aura)라는 이다. 이 위기는 그 후 100여 년 동안 눈에 띄지 않게 서서히 진행되다가 20세기에 와서는 마침내 예술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술지상주의라는 理論으로써 이 위기에 대처하였다. ‘진정한’ 예술작품의 유일한 가지는, 제아무리 간접적으로 매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아름다움에 대한 가장 세속적인 숭배라고 하더라도 세속화된 제의로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아 르네상스에서 형성되기 스타트하여 그 후 300여 년 동안 줄곧 지속되었던 세속적 아름다움의 숭배가 그 본래의 근거를 드러내보이기 스타트한 것은, 이 기간이 지난 후 처음으로, 세속적 아름다움의 숭배가 위기를 맞이하면서부터이다. 즉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 가능 시대에 위축되는 것은 예술작품의 아우라이다. 이 理論으로부터 생겨난 것이 ‘순수’ 예술의 이념이라는 형태를 띤 일종의 부정적 신학이다. 즉,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가능성은 세계 歷史상 처음으로 예술작품으로 하여금 지금까지 종교 의식 속에서 살아온 기생적 삶의 방식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였다. 이 부정적 신학은 예술에 있어서의 일체의 사회적인 기능, 그리고 대상과 소재에 의한 일체의 제약을 거부한다. 이러한 제반 상관관계를 충분히 고려하는 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을 고찰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그 밖에도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품이 처하게 되는 제반 사정은 예술작품의 존속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도 있다아 그러나 그러한 제반 상황은 어떤 경우에도 예술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현존성에 손상을 입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예술과 사회
.
예술과 사회
예술작품의 유일무이성은 그것이 전통의 상관관계 속에 깊숙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간단히 말하면 이런 경우 손상을 입게 된는 것은 예술품의 진품성이다.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




설명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예술과 사회
순서
Download : 예술과 사회.hwp( 69 )
원작의 시간적, 공간적 현존성은 원작의 진품성이라는 정의(定義) 의 내용을 이룬다. 기술적 복제는 원작을 사진이나 음반의 형태를 통해 바꾸어서 수용자들에게 접근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일반적으로 진품성은 손으로 이루어진 복제에 대하여는 이를 위조품으로 낙인찍어서 자신의 권위를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기술적 복제에 대하여는 그러지 못하다. 종교의식적인 것에 그 근거를 두고 있던 예술의 사회적 기능의 자리에 또 하나의 다른 사회적 실천, 즉 정치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 예술의 다른 사회적 기능이 대신 들어서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예술작품의 이러한 아우라의 존재방식이 한 번도 제의적인 기능과 분리된 적이 없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예술생산에서 진품성을 판가름하는 척도가 그 효력을 잃게 되는 바로 그 순간, 예술의 모든 사회적 기능 또한 change(변화)를 겪게 된다된다. 진품성의 모든 영역은 기술적인-물론 기술적인 것만은 아니지만-복제 가능성을 배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