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조선시대의 군사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22:30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hwp
이러한 오위체제는 숙종 원년(1469)에 그 소속 병종에 대한 재조정을 거쳐서 경국대전상으로 정비되어 갔다. 또한 5위에는 전국 진관의 지방군사가 위·부별로 분속 되어 있다아 즉 각 위는 5부로 구성되었고 각 부는 4통으로 나뉘었으며, 각 통의 아래에는 려·대·오의 계통이 세워져 있었다.근세사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기타레포트 ,
다. 둘째, 신분적인 면보다는 직접 왕권강화에 적극적인 도움이 되는 군사적 기능면에 치중한 병종이 있다아 이들은 사실상 오위 병종의 기간병들로 모두가 일정한 무예시험을 통하여 선발된 정예부대들이다 이 가운데는 가장 the gist이 되는 병종인 갑사나 별시위가 있는데 이들은 거의 무관과 다름없는 대우를 받으며 위병의 구실을 하였다. 이러한 병종은 한마디로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형성된 조선왕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병종들로 모두 지배계층의 신분과 직결된 대우병들로 사실상 군사적 기능은 거의 보잘 것이 없으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왕권유지와도 많은 이해관계가 있는 군대들이다.
오위에 소속되어 있는 중앙군의 병종은 대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아
첫째, 왕실의 원칙이나 유음자손 및 고급관료의 자손 등 특권지배층의 무능한 자손들에 대한 특전적인 조처로 이루어진 병종이 있다아 왕실과 혈족관계에 있는 자들이 속하는 친위, 태조 이성계의 출신도인 함경도 자제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 친군위 등의 병종이 이에 속한다. 즉 대립의 발생, 그리고 진법체제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대각…(투비컨티뉴드 )
근세사
레포트/기타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에 대한 글입니다. 이리하여 중앙군사력을 이루는 모든 병종은 5위에 들게 되었다.
설명
순서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에 대한 글입니다.
Download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hwp( 28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
,기타,레포트
Ⅰ. 머리말
Ⅱ. 군사조직
1) 조선전기의 군사조직
① 초기의 중앙군의 정비
② 초기의 지방군의 정비
2) 조선후기의 군사조직
① 후기의 중앙군의 발달
② 후기의 지방군의 발달
Ⅲ. 군역제도
1) 조선전기의 군역제도
2) 조선후기의 군역제도
Ⅳ. 양인만이 의무를 가진 이유
Ⅴ. 맺음말
오위제도는 여러 군사를 그 병종별로 각기 분속시키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셋째, 양인의 의무군역으로서 당번이 되면 교대로 상경 시위하는 이른바 시위패의 후신인 정병이 있다아 이 정병에는 보정병과 기정병이 있는데 이들은 갑사와 더불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5위체제 내에서의 또 하나의 가장 유력한 기간병이라 할 수 있다아
이 같은 5위 중심의 중앙군제는 임진왜난 때까지 제도상으로는 큰 變化(변화)가 없었으나 질적인 면에서의 저하는 적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