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2 17:27
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hwp
따라서 ,속요라는 명칭은 노래가 민요이며, 내용이 속되고, 저속한 계층이나 하층민에 의해 불린 저급한 노래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를 가지고 있따 고려국어속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p.8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설명
다. ‘고려가요’라 하면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속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고려사>악지에서 속악이라고 명명한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 속요라고 하는 것은 노래의 내용을 지칭한 것이다. 단련체- 유구곡, 상저가, 사모곡, 정읍사. 정과정, 처용가,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병욱은 일반형과 변격형의 두 종류로 분류하였고 조윤제는 개별적인 노래가 후렴구를 붙여서 몇이고 달아 나가는 것 (동동 ,청산별곡, 쌍화점, 만전춘)과 한수의 노래가 후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연장체- 동동, 정석가. 쌍화점, 서경별곡, 청산별곡, 가시리, 만전춘
순서
(2)형식상 특징
고려 속요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극히 자유분방하여 자유형이라 규정하기도 하지만 ,고려 속요의 형태를 다룬 연구를 종합해보면 고려 속요의 형태에서 일정한 정형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따 고려속요의 형식은 연시(聯詩)와 비련시(非聯詩)로 크게 나누어 진다. 오래전부터 구전되어 온 평민문학으로서의 속요는 그 작자가 알려져 있지 않음이 특징이다.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hwp( 82 )
라 하고 있따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속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따 별곡이란 용어는 그것이 가사에 의해서가 아니라 곡에 의하여 규정되는 데 있따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鄕歌)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은 中國계(中國系)의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俗樂) 또는 향악(鄕樂)의 노래 이름을 별곡이라는 말을 붙여 지었기 때문이다. 《청산별곡》은 작품의 세련된 면모로 보아서, 《쌍화점(雙花店)》은 기록에 힘입어 개인이 지은 시가 아닌가 하는 추정을 해 봄 직하나 알 길이 없고, 《서경별곡》 《가시리》 등은 원래 민요였을 것인데, 궁중악곡(宮中樂曲)으로 채택되면서 다듬어졌으리라 생각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