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2:04
본문
Download :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hwp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순서
▣ 1920년대와 1930년대의 경향소설론
설명
▶<신경향파문학과 무산파의 문학> 신경향파 문학의 人生(인생)관 내지 사회관은 허무적·개인적·절망적·감정적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 ⇒ 성장적·집단적·사회적·투쟁적인 성격으로 해소되고 발전돼야 한다고 주장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경향문학 ⇒신(新)경향파 문학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이기영, 최서해, 조명희, 주요섭, 이익상 등의 소설 박영희의 <전투>(개벽.25년 1월) <사냥개>(개벽.25년 4월), 이익상의 <광란>(개벽.25년 3월), 이기영의 <농부 정도룡>(개벽.26년 l월), 주요섭의 <살인>(개벽.25년 6월) 등
▶세태소설과 내정소설 대비 ⇒ 김남천 소설/채만식 소설, 이상소설/박태원 소설
들이 보여주는 일정한 경향에 주목
2.세태소설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 임화 <세태소설론>(《동아일보》.1938. 4. 1-6)
☞감定義(정이) change(변화): 가진 자나 짓밟는 자에 대한 증오심, 파괴본능을 쏟아내는 것 ☞행동양식의 change(변화): 극한 상황을 맞아 파괴, 살인, 방화, 자살, 등의 공격적이면서 극단적인 행동으로 나아가는 것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hwp( 84 )
.
.



▶서술의도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 김남천
☞무산계급문학을 도달점으로 삼으면서 “유탕, 정서지상, 압박과 착취적 기분을 벗 어나 생활 사색, 해방, 민중 을 위한 쪽으로 나온 것”으로 파악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
☞의식의 change(변화): 사회주의 사상이나 계급의식으로 기울어지는 것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노동자, 농민, 빈민, 진보적 청년지식인 등 주인공으로, 궁핍상이나 경향성을 드러낸 소설 ▶경향성: 의식이나 감정이나 행동방식의 면에서 일대 change(변화)를 일으키는 것
▶대체로 경향소설은 노동소설, 농민소설, 빈궁소설, 이념소설 등으로 구체화
▶경향문학을 1923년과 1924년의 신경향파문학의 대명사, 프로문학의 대명사, 카프문학과 동반자문학의 별칭 등으로 정리
한국의 주요 소설 유형
▣ 박영희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1925. 12)
▶김남천에게 influence(영향)을 준 게오르크 루카치는 경향문학을 다의적인 용어로 파악 소설신론 제4장 소설유형론 177p 아래 참고
☞대치되는 것이면서도 동일한 시기에 부각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고 파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