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WORM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12:04
본문
Download : 악성코드 WORM(2).hwp
웜이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윈도우 시대가 돼서 부터이다.설명
악성코드,WORM,공학기술,레포트
악성코드 WORM
Download : 악성코드 WORM(2).hwp( 62 )
순서
악성코드 WORM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악성코드 WORM , 악성코드 WORM공학기술레포트 , 악성코드 WORM
`악성코드 WORM`
웜은 스스로를 복제하고 인터넷(Internet)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전파되는 호로그램(바이러스)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웜에는 Ⅰ-Worm/Happy99, Ⅰ-Worm/ExploreZip, Ⅰ-Worm/PrettyPark 등이 있다아 I-Worm은 모두 e-메일에 웜을 첨부하여 보내는데 모두 동일한 이름이어서 사용자가 조금 관심을 가지면 첨부파일이 웜인지 금방 알 수 있다아 그러나 최근 발견된 웜은 e-메일을 보낼 때마다 불규칙적으로 이름을 달리하여 보내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눈치를 못 채는 경우도 있다아
‘웜’이라는 단어는 1975년에 존 부르너가 출판한 공상 과학 소설 `더 쇼크웨이브 라이더`에서 차용되었다. 분산 컴퓨팅 관련 연구를 하고 있던 연구진들은 그들의 소프트웨어와 브루너에 의해 묘사된 호로그램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고 그 이름을 채택하였다. 보통 다른 바이러스들은 부트 영역에 침입하거나 메모리에 상주하거나 정상 파일에 침입하여 감염시키는 것이 목적이지만, 웜은 스스로 증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웜은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첨부되어 확산되거나, 운영체제나 호로그램의 취약한 부분을 이용하여 스스로 침투한다. 1999년 다른 사람의 메일을 수집하고 스스로 전달되는 형태의 인터넷(Internet) 웜이 출현하면서 일반인에게 웜이라는 용어가 알려지기 스타트했다. 따라서 웜은 파일 자체에 이런 기능이 있거나 운영체제에 자신을 감염시킨다. 바이러스는 보통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대상 컴퓨터에 대하여만 활동한다. 또한 웜의 기능을 가지며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기능을 가진 복합적 형태의 웜…(생략(省略))
레포트/공학기술
다. 즉, 일반적으로 웜은 네트워크를 손상시키고 대역폭을 잠식하지만, 바이러스는 컴퓨터의 파일을 감염시키거나 손상시킨다. 웜과 바이러스의 큰 차이점은 감염대상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구분된다 바이러스는 감염대상을 가지고 있지만, 웜은 감염대상을 가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