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0 09:27
본문
Download :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2).hwp
그 때부터 스타트된 일본의 역싸 조작은 오늘날 식민사학이라는 왜곡된 역싸관으로 이어졌고, 일본 사회의 사고방식까지 지배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잔, 신라를 파하고 신민으로 삼았다`라는 식으로 해석한다. 문장을 둘러싼 논쟁은 크게 나누어 보면 두 가지다.
광개토왕비와 관련된 논쟁의 the gist적인 내용은 비문 중 `신묘년조`에 대한 해석 방법과 비문의 조작 여부이다. 일본 측에서는 `백잔(백제)과 신라는 예로부터 (고구려의) 속민이어서 조공을 바쳐왔다. 반면 정인보 이래 한국과 북한에서는 뒷부분을 다르게 해석한다. 즉 `백잔과 신라는 예로부터 (고구려의 )속민…(투비컨티뉴드 )
순서
다. 그리고 황국사관에 젖은 일본 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실증사학의 이름을 빌어 정당화시키거나, 고대사 연표를 조작하고, 일본 사학자의 연구를 베끼고 식민사학 극복을 논하는 경우까지 있음을 폭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8세기경의 『일본서기』로부터 스타트된 일본의 역싸 왜곡의 전통, 식민사학의 기원과 현재, 광개토왕비와 관련된 논란의 진실, `임나`와 `일본 부`에 대한 오해,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연표 조작 문제, 분국설과 백제의 요서 경략 등 한일 고대사에 숨겨진 진실을 밝히는 동시에, 우리 역싸를 과대 해석하는 또 다른 역싸의 왜곡을 범하지 않도록 경종을 울린다. 그리고 권위 확립을 위해 일본의 고대사, 특히 1.300년 전의『일본서기』에서부터 역싸 조작과과 왜곡을 스타트했다. 역싸 왜곡에 있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 근대사를 초점으로 하고 있는데, 저자는 근대사를 비롯하여 그 왜곡의 뿌리는 고대사에 있음을 지적한다. 일본은 군국주의를 정당화시키고, 중앙 권력을 장악한 세력의 정권 유지를 위하여 `천황`이라는 존재를 만들었다. 왜곡이 정당화되려면 또 다른 왜곡이 필요했고, 조작된 역싸가 사실로 인정받는 일본사회의 풍토는 우리 사회에 까지 influence(영향)을 미쳤다고 저자는 밝힌다.
Download :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2).hwp( 83 )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 ,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감상서평레포트 , 거짓과 오만 역사
레포트/감상서평
거짓과 오만의 역사를 읽고나서
거짓과,오만,역사,감상서평,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설명
거짓과 오만의 역싸를 읽고나서 나서
일본의 역싸 교과서 왜곡으로 우리 역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