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17 21:37
본문
Download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hwp
논자가 지적하신 것처럼 오조법연과 그의 상족 원오극근을 거쳐 대혜종고에 이르러 간화선의 전통이 확립된 것이 정설이 되어 왔다. 여기에 어떤 선지식은 4. 대서원을 강조하신 분도 계신다. 하지만 말후일구 즉 활구를 투득하기 위해 정진하는 선원의 본참학인의 입장으로 본다면 10가지 병통이란 무자화두를 투득하기 위한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지 논리적인 카테고리라고 할 수는 없으리라. 예컨데 학인의 마음가짐에 1. 대신근 2. 대의단 3. 대분지는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된다. 어쨋든 위의 구자무불성화의 10가지 병통은 ‘장심대오’[열번째, 부득작존심대파]라고 뭉뚱그릴 수 있다고 종문에서는 알려져 있다 남송시절에 이미 묵조선과의 논쟁에서 간화선을 ‘대오선’이라고 공격받은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To be continued )
다.



레포트/인문사회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
Download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hwp( 86 )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설명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논자께서 인용문을 통해 지적한 ‘무자화두 십종병’을 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논리적인 면으로 보일지 모른다.